안동의 농암종택 강각(어부가,농암가 )
|농암종택
업종 : 숙박 및 문화재
1. 농암 이현보
농암 이현보(1467∼1555)는 조선 연산군, 중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1498년 (연산군 4) 식년 문과에 급제한 뒤 32세에 벼슬길에 오른다.
이후 비록 참판에 그쳤으나 품계는 조선 명종 치세때인 1549년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이르렀다.
2. 농암종택
농암종택은 고택의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어 조선시대의 숨이 살아있다. 가치를 인정받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택에서 숙박 함으로써 받는 감동은 마치 500년 전으로 돌아가 양반이 되어 사치스러운 하루를 보내는 느낌이었다.
후손들이 잘 보존하고 있어 전통을 지키는 일 역시 개을리 하지 않아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다만 고택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시설은 낡아서 벌레가 나오기도 했고 불빛 때문에 나방이 달려들기도 했다. 이 또한 과거의 모습 그대로인 생각에 좋은 추억으로 기억된다. 내가 묵은 애일당은 화장실이 별채 형식으로 되어있어 10m 정도 걸어 나가야 한다. 2개의 방 가운데 마루가 있는 구조이며 방에서 문을 열면 낙동강이 보인다.
농암종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종택(宗宅)이다. 이현보는 1504년(연산군 10년)에 사간원정언으로 있다가 임금의 노여움을 사 안동으로 유배된 인물이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원래 종택이 있던 분천마을이 수몰되었다. 안동의 이곳저곳으로 흩어져 이건(移建)되어 있던 종택과 사당, 긍구당(肯構堂)을 영천이씨 문중의 종손 이성원이 한곳으로 옮겨 놓았다. 2007년에 분강서원(汾江書院)이 재이건되었다. 지금은 분강촌(汾江村)이라고도 불리며,
map.naver.com
1. 유적
1) 긍구당肯構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2호) 편액: 영천자 신잠(靈川子 申潛) 2) 애일당愛日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4호) 3) 명농당明農堂 편액 미수 허목 4) 강각江閣 '어부가', '농암가' 등이 창작된 집 5).분강서원汾江書院 6).농암사당聾巖祠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1호) 7).농암종택聾巖宗宅 8).신도비神道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자료 64호) 1566년 건립 비문 :대제학 홍섬(大提學 洪暹), 글씨: 여성군 송인(礪城君 宋寅) 이건고유문: 이유헌李裕憲, 발문: 이만도(響山 李晩燾) 9).농암각자聾巖刻字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3호) 10).농암聾巖 (농암이 자호롤 인취한 바위) 11).농암가비 1(聾巖歌碑) 소재: 도산서원 진입로 입구 글씨: 모산 심재완, 간사: 권영철 12).농암가비 2. 소재: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입구 국도변 글씨: 삼여재 김태균, 글: 김호종 안동대교수, 재작 : 김세일 성균관대교수, 건립: 안동청년유도회 |
2. 유물
1).영정(一)(影幀) (보물 872호) 2).영정(二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63호) 3).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 (보물 1202호) 4).애일당구경별록愛日堂具慶別錄 (보물 1202호) 5).농암집 필사본 (보물 1202호) 6).은대계회도銀臺契會圖 (보물 1202호) 승지 시절 함께 한 동료들과의 계모임을 할 때 그린 그림. *계원명단: 도승지 남세건南世楗, 좌승지 정순붕鄭百朋, 우승지 오준吳準, 좌부승지 김광철金光轍, 전우부승지 이현보李賢輔, 우부승지 양연梁淵, 동부승지 조인규趙仁奎, 주서 이몽량李夢亮, 주서 이원손李元孫. 이상 7인. 7).분천긍호록汾川肯好錄 (보물 1202호) 8).교지.교첩(敎旨, 敎牒) (보물 1202호) 9).농암면례일기 및 영정개모일기 (보물 1202호) 10).구로회첩九老會帖 (보물 1202호) 11).내사본(보물 1202호) 12).금서대金犀帶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63호) 13).기타 미등록, 미공개 문화재 다수 『농암집』 발행: 농암 현손 同樞 李榮運 편집: 外後孫 鳩齋 金啓光, 글씨: 농암 6대손 李元弼, 발행년도 1664년 |
화장실 내부는 서양식이며 샤워시설도 있습니다. 현대식으로 사용하기 불편함이 없습니다.